본문 바로가기

가전

삼성 로봇청소기 구매기

반응형

집이 30평이라 청소하기에는 힘들어서 로봇청소기를 구매하기로 하였다.

 

1. 로봇청소기 구매에 앞서 고려한 조건

 

구매에 앞서 검색해 본 결과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점이 센서인데 특히 LDS라이다센서가 좋다고 한다. 그래서 다나와에서 로봇청소기 상세검색에 LDS라이다센서, 그리고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스마트맵핑자동충전 기능을 선택하였다. 또한 흡입전용 모델로 검색하였다.

 

스마트맵핑 기능이 있는 청소기와 없는 청소기는 청소의 효율성 측면의 차이가 있다고 했다. 경로를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청소하는 경우가 시간과 에너지가 덜 들고 더 정확히 청소할 수 있다고 했기 때문에 스마트맵핑 기능을 선택하였다.

 

자동충전 기능은 해당 기능이 없는 경우 청소 중 배터리가 닳았을 경우 집 안 어딘가에 청소기가 있는 채로 청소가 끝난다고 하여 기왕이면 다 끝나고 스스로 충전대로 찾아갈 수 있었으면 하여 선택하였다. 

 

흡입전용 모델로 선택한 이유는, 우선 걸레와 흡입 겸용의 경우 걸레질의 효과가 걸레전용에 비해 떨어진다. 걸레전용의 경우 기계 무게 자체를 활용하는 데 겸용은 추가적인 압을 가해야 하거나 그냥 회전, 진동할 뿐이었다. 또한 겸용 모델의 경우 청소기가 물통과 먼지통을 둘 다 가지고 있어야 하다 보니 각각의 용량이 적었다. 그리고 청소만 하고 싶을 때도 있는 데 같이 있으면 로봇청소기를 돌리기 전에 매번 걸레와 물통도 같이 관리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래서 애매하게 두 개가 같이 있을 바에는 흡입전용 모델과 걸레전용 모델을 따로 구매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사실 두 개가 같이 있는 모델을 사나 개별로 사나 가격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그렇게 4개를 조건으로 걸고 나니 샤오미, 삼성전자, 치후의 제품이 나왔다. 그런데 비슷한 조건 기준 가격 차이가 10만원 정도 나길래, 당연히 그럼 삼성전자지 하고 삼성전자의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을 본격적으로 보았다.

 

2. 삼성전자의 로봇청소기 제품군

 

구매하기 위해 알아볼 당시 삼성전자의 로봇청소기는 세 종류였다. VR30T80313W, VR30T85513W, VR50T95935W 이렇게였다.(W는 색이다, 보면 B, P 등도 있다.) 구매기를 쓰는 지금 시점에서 VR50T95936, VR30T85514가 있길래 보니 2022 모델인데 기존 모델과 큰 차이가 없는데 가격이 좀 더 비싸다.(색이 더 다양하기는 하다)

 

삼성전자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품 상세 설명을 열심히 본 결과 각 제품의 특징은 간략하게 정리되었다.(다나와에서 살 수 있는 최저가 기준 가격)

 

VR30T80313W(30만원 대) - 가장 기본 모델

VR30T85513W(50만원 대) - 자동 먼지 흡입기 추가

VR50T95935W(100만원 대) - 자동 먼지 흡입기와 함께 펫 관련 특화(강아지 더 잘 피하고 강아지랑 놀아줄 수도 있다고.... 관련 카메라 있음), 빅스비 음성 컨트롤

 

3. 자동 먼지 흡입기에 대한 고민 

 

가장 상위 모델은 추가된 기능에 비해 가격대가 너무 높았다. 우선 애완동물이 없고, 빅스비 음성 컨트롤이야 핸드폰으로도 어느 정도 되기 때문에 굳이 필요 없었다. 그래서 가장 기본 모델과 자동 먼지 흡입기가 추가된 두 모델 중에 결정하기로 하였다. 자동 먼지 흡입 기능 하나 추가를 위해 20만원을 더 지불할 가치가 있을 것인가!

 

1. 자동 먼지 흡입기가 굳이 필요할까 하는 생각

 

1-1. 먼지통 비우기가 어렵지 않다.

 

삼성전자 로봇청소기는 먼지통을 비우기 위해 청소기를 뒤집을 필요 없이 그냥 위에 뚜껑을 열어서 비우면 된다. 그래서 비우는 과정이 그렇게 불편하지 않다. 

 

1-2. 청정스테이션에는 벌레 문제가 있다.

 

이전 여름, 삼성전자 청정스테이션에서 발생한 응애, 벌레 문제가 걸렸다. 로봇청소기의 먼지 흡입 장치도 결국 삼성전자 청정스테이션인데 여기도 먼지가 모여있다 보면 여름에 습할 때 벌레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이 많이 되었다. 그래서 매장 상담을 갈 때마다 물어보았으나 판매직원은 구매 고객님 중 벌레 문제로 다시 오신 고객님은 한 명도 없었다고 한다. 근데 그도 그럴 것이 벌레 생기면 삼성 A/S 센터를 가지 판매 직원에게 다시 가겠나 싶었다. 

 

1-3. 먼지통에 대한 유지관리 비용이 든다.

 

먼지통을 비울 때 먼지 봉투를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

반응형

2. 그래도 자동 먼지 흡입기 있으면 좋을까 하는 생각

 

2-1. 원격 조종도 되는 로봇청소기의 특성을 고려해보자.

 

사실 얼마나 밖에서 작동시키고 예약 청소 기능을 쓰겠냐마는 혹시 쓰게 되면 청소 전 후에 신경 써야 하는 일이 없는 자동 먼지 흡입기가 있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2-2. 로봇청소기 청정스테이션은 무선 청소기 청정스테이션에 비해 작다.

 

더 작으니까, 더 짧은 기간 먼지가 모여있을 테니 벌레 문제가 좀 낫지 않을까 싶었다.

 

2-3. 먼지통을 자주 비울 것 같지는 않다.

 

후기들을 보니 먼지통을 크게 자주 비울 것 같지는 않아서 유지 관리 비용이 부담될 것 같지는 않았다.

 

4. 결론

 

자동 먼지 흡입기능이 있는 VR30T85513W로 구매하였다. 기존 청소기의 먼지통을 비울 때 발생하는 미세한 먼지가 꽤 되는데 이 점을 고려하였다. 

 

삼성 로봇청소기 한 달 이상 사용 후기

 

삼성 로봇청소기 한 달 이상 사용 후기

구매기는 이전 글에 있다. 삼성 로봇청소기 구매기 삼성 로봇청소기 구매기 집이 30평이라 청소하기에는 힘들어서 로봇청소기를 구매하기로 하였다. 1. 로봇청소기 구매에 앞서 고려한 조건 구

endless-cycle.tistory.com

 

반응형